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머릿속에 이미지를 그려주는 비언어적 전달법 누군가의 발표를 듣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학교 수업이어도 좋고, 회사 동료의 발표여도 좋고, . 강연이어도 좋다. 이때 우리는 의식적으로 발표자의 말과 PPT 자료 등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할 것이다. 그런데 말과 자료 외에도 우리의 이해도, 기억력, 홍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게 있다. 바로 비언어 요소이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몸짓에 다각도로 영향을 받는다. 미국 UCLA 심리학과 명예교수인 앨버트 메라비언은 그의 저서에서 말하는 내용의 무려 55%가 신체 언어를 통해 전달된다고 발표했다. 물론 비언어적 요소가 메시지와 관련이 있고 보완할 수 있을 때 그렇다는 것이다. 발표자는 청중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쉬운 방식으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목소리를 활용해 전달력을 높이는 .. 2023. 7. 29.
청중의 귀를 사로잡는 언어 전달법 발표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서 어떤 부분을 강조할지 정하는 것이다. 어떤 메시지에 청중이 집중하기를 원하는지, 발표를 끝냈을 때 청중이 기억해 주었으면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정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청중은 수동적인 존재이다. 대부분 사람은 발표에 귀를 기울이지 않거나 최소한의 집중력만을 사용해 발표 내용을 이해하길 원한다. 주제에 대한 청중의 관심도가 높고 청중이 발표에 집중하더라도 청중은 원하는 것, 혹은 이해하기 편한 것을 취사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발표자로서 우리는 이러한 제약을 인정하고, 의도한 대로 주요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써야 한다. 물론 "이것은 정말 중요하니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라고 말하는 정공법을 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 2023. 7. 29.
청중을 사로잡는 5단계 발표 준비법 토론은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논증과 반증을 오가며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는데, 이는 역동적인 스포츠 활동과 비슷하다. 그런데 운동을 처음 할 때도 단계가 있듯 본격적인 토론을 하기 전에도 준비운동이 필요하다. 청중 앞에만 서면 다리가 후들거리고, 준비된 의견조차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상태에서 곧바로 토론하는 것은 어제 막 복싱을 시작한 사람이 프로 선수와 스파링하는 것과 같다. 스텝도, 잽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채 프로 선수를 대면한다면 복싱이 재미있어지기는커녕 오히려 두려움만 커질 것이다. 최악의 경우 영영 링에 오를 용기가 생기지 않을지도 모른다. 토론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라도 기초적인 대담 스킬을 숙지해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과정에 익숙해져야 한다. 대담이란 청중과 공감대를 형성하.. 2023. 7. 29.
설득력을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 토론은 상대방 또는 제삼자를 설득하는 의사소통 유형으로, 토론과 설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설득한다는 것은 누군가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원치 않아도 누군가를 설득하고 설득당하며 살아간다. 가깝게는 친구에게 내가 원하는 것을 이해시키는 일부터, 직장 동료와 상사를 설득하는 일, 그리고 하루에도 수백 번 이상 나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광고까지. 이처럼 설득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살아가며 부딪는 다양한 관계 속에 존재한다. 먼저, 설득을 하려면 우리가 언제 설득되는지 알아야 한다. 설득에 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있지만, 핵심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으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에서 연설의 종류를 심의용 또는 정치 연설.. 2023. 7. 28.